임베디드 기사/필기 - 임베디드 하드웨어

2021년 임베디드 하드웨어 필기 기출 오답 정리

꿈을향해달리자 2023. 8. 27. 21:14
728x90

1. 2번
USB 데이터 전송에서 NRZI (Non-Return-to-Zero-Inverted) 부호 방식이 사용된다면 데이터가 1001100011일 때 NRIZ 부호는?
1) 1001100011
2) 0110011100
3) 1001100010
4) 1011101000

더보기

4번

 

- 개념

1) RZ (Return to Zero) 방식 : 레벨 복귀

- 펄스 사이에 반드시 일정 시간 동안 0을 유지한채 다음 신호를 전송함

 

2) NRZ (Non Return to Zero) 방식 : 레벨 유지

- 1 or 0을 나타내는 하나의 펄스 파형 시간 간격을 하나의 주기와 같게함

 

3) NRZI (Non Return to Zero Inverted) 방식 : 레벨 반전

- 차등부호화 방식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차등부호화(Differential Coding)란 임의의 신호가 앞단의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이다. 즉, 비트 정보 1은 앞단의 부호를 유지하고, 비트 정보 0에서는 앞단의 부호와 반대 위상으로 변화하는 방식이다. 

 

 

2. 7번
10진수를 표시하기 위한 7세그먼트 회로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입력은 BCD코드로 받기 위해 4비트, 출력은 LED가 7개이므로 7개가 필요하다.
2) 입력은 LED가 7개이므로 7개, 출력은 BCD 코드로 변환하기 위해 4비트가 필요하다.
3) 여러 LED가 동시에 켜질 수가 없다.
4) 각 출력 논리식은 7비트 논리식으로 표시된다.

더보기

1번

 

- 개념

1) BCD (Binary Coded decimal) : 이진수 네자리를 묶어 십진수 한자리로 사용하는 수법

 

3. 8번
USB 데이터 전송에서 논리 값이 1이 되는 조건은?
1) D+에 대한 D- 전압이 100mV 초과할 때
2) D+에 대한 D- 전압이 200mV 초과할 때
3) D-에 대한 D+ 전압이 100mV 초과할 때
4) D-에 대한 D+ 전압이 200mV 초과할 때.

더보기

4번

 

- 개념

1) USB 데이터 통신 방식

- D+, D- 신호를 전압으로 표현해 전송한다. 

- D+에서 D-를 뺀 전압의 값이 0.2V를 초과해야 1로 간주한다.

- 전송하고 싶은 데이터 비트가 1인 경우는 그대로, 0인 경우에만 반전 시킴 (NRZI 방식)

 

 

4. 9번
GPIO포트를 통하여 수행할 수 없는 것은?
1) I/O 장치로부터 폴링방식으로 데이터 값을 읽어온다.
2) I/O 장치의 On/Off 제어를 할 수 있다.
3) I/O 장치의 인터럽트 요청을 받아들인다.
4) 아날로그 I/O신로 값의 레벨을 읽어 디지털로 직접 변환시킨다.

더보기

4번

 

- 개념

1) 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 다용도 입출력 포트

- 출력으로 사용 시, 0과 1의 출력 신호를 임의로 만들어 줄 수 있는 구조를 가짐

- 입력으로 사용 시, 외부 인터럽트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음

 

5. 11번
단일버스 통합형 DMA 방식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DMA 제어기가 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입출력 모듈과 함께 시스템 버스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2) 데이터 전송을 위해 시스템 버스를 두 번씩 사용하는 버스 연결 방식을 개선한 방식
3)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CPU가 직접 개입하는 방식
4) 입출력 버스를 활용한 방식

더보기

2번

 

- 개념

1) DMA (Direct Memory Access) : CPU의 개입 없이 I/O 장치와 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접근 방식

2) DMA 연결 방식

① 단일 버스 분리 방식 : CPU, RAM, I/O, DMAC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가 단일 버스에 연결

② 단일 버스 통합 방식 : 여러 I/O가 DMAC에 연결, CPU, RAM, DMAC가 하나의 버스를 사용

③ 입출력 버스 방식 : 각종 I/O가 I/O 버스에 접속하고 I/O 버스와 시스템 버스를 DMAC가 연결

 

6. 16번
온도 센서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R’ Type은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B’ Type보다 약하다.
2) 온도센서는 PT100 SENSOR와 K, J, E, T, B, R, S, C Type이 있다.
3) ‘N’ Type은 ‘K’ Type의 개량형으로 규소의 첨가량을 늘려 내열성이 높다.
4) ‘C’ Type은 텅스텐 써미 커플러로서 -200 C에서 -100C의 저온에 적합하다.

더보기

4번

 

- 개념

1) 열전대 종류

- 가장 보편적인 기본 금속 열전대는 J, K, T, E, N 타입

- 이외 R, S, B, G(W), C(W5), D(W3) 타입은 고온 측정에 특화 된 귀금속 및 합금 재질임

 

7. 17번
Verilog HDL을 이용한 논리 회로 설계 시에 상위 추상화 수준에서 회로 설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아키텍처의 평가를 할 때 사용하고 많은 측면에서 C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한 기법은?
1) 게이트 레벨 모델링
2) 데이터 플로우 레벨 모델링
3) 구조적 프로시저
4) 행위 레벨 모델링

더보기

4번

 

- 개념

1) Verilog 설계 기법

① Gate-level modeling : 논리회로 Gate를 이용하여 칩을 설계

② Data flow modeling : 입 - 출력 사이의 신호 흐름을 연산자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방법

③ Behavioral modeling : C언어와 가장 유사한 방법

 

 

8. 20번
주소지정 방식 중 오퍼랜드가 메모리상의 데이터 주소를 가르키고 그 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은?
1) 간접 주소지정 방식
2) 상태 주소지정 방식
3) 인덱스 주소지정 방식
4) 즉시 주소지정 방식

더보기

1번

 

- 개념

1) 명령어 주소 지정방식 : 마이크로 프로세스가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를 읽어 실행할 때 오퍼랜드 필드에 따라 메모리 접근 주소를 계산하는 방식

2) 주소 지정방식 유형

① 직접 주소 지정 방식 : 접근가능한 메모리 주소를 직접 지정

②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유효 데이터의 주소를 지정하는 포인터를 지정

③ 묵시적 주소 지정 방식 : 주소 지정 없이 명령코드+레지스터로 구성. 시프트 연산 실행 명령이 해당됨

④ 즉시 주소 지정 방식 : 오퍼랜드의 값이 실제 처리할 데이터

⑤ 레지스터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에 실제 데이터 존재

⑥ 레지스터 간접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에 저장된 주소의 데이터 값이 유효 주소

⑦ 변위 주소 지정 방식 : 레지스터와 기억장치 주소를 조합함. 인덱스 주소 지정방식, 상대 주소지정 방식이 해당

 

# References

- https://hyeo-noo.tistory.com/320

- 열전대 | 써모커플 | thermocouple (omega.com)

- [컴퓨터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모드 (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