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디드 기사 33

2018년 임베디드 플랫폼 필기 기출 오답 정리

54번 유닉스 시스템에서 각 사용자가 로그인 할때마다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내용(PATH 변수, 프롬프트 지정 등)을 정의해 놓은 파일은? 1) /etc/resolv.conf 2) /etc/profile 3) /etc/passwd 4) /etc/aliases 더보기 2번 - 개념 1) /etc/resolv.conf : 사용하고자 하는 네임 서버를 지정하는 파일이다. [root@server ~]# cat /etc/resolv.conf # Generated by NetworkManager domain localdomain search abc.com nameserver 192.168.111.2 2) /etc/profile : 각 사용자가 로그인 할때마다 시스템에 의해 자동 실행되어야 하는 내..

2018년 임베디드 펌웨어 필기 기출 오답 정리

21번 BLOB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타깃 보드를 초기화 한 후 사용자에게 타깃 시스템의 접근제어를 위해 미니컴의 CLI를 제공한다. 2) 운영체제를 부팅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한 타깃 시스템에 접근한다. 3) 병렬 통신으로 커널 이미지와 램 디스크를 다운로드 한다. 4) 플래시 메모리 퓨징과 커널에 인수 전달 기능을 제공한다. 더보기 3번 - 개념 1) BLOB - Boot Loader Object 약어로 ARM용 부트로더로 임베디드 리눅스 상에서 부팅이 가능하도록 기능 제공 - 리눅스 커널 다운로드를 시리얼 케이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 2) GRUB - Grand Unified Bootloader의 약어로, GNU 부트로더이다. 현재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 3) ..

2018년 임베디드 하드웨어 필기 기출 오답 정리

1번 인터럽트 요청신청 플래그를 차례로 검사하여 인터럽트의 원인을 판별하는 방식은? 1) 스트로브 방식 2) 데이지체인 방식 3) 폴링방식 4) 하드웨어 방식 더보기 3번 - 개념 1) 스트로브 방식 - 비동기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 - 데이터 전송 회선 이외에 스트로브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제어 회선을 추가하여 데이터 전송 시간을 맞춤 - 송신장치는 수신장치가 데이터를 받았는지 알 수 없음 2) 데이지 체인 방식 - 하드웨어 처리 방식이다. - 단일 INTR 선을 공유하여 연결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3) 폴링 방식 - 소프트웨어 처리 방식이다 - 인터럽트 발생 시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부터 차례대로 검사해서 해당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한다. 4) 하드웨어 방식 - CPU와 장치를 병..

2017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필기 기출 오답 정리

61번 2진 트리의 레벨 i에서 가질 수 있는 최대 노드 수는? 1) 2^i +1 2) 2^i 3) i+1 4) 2^(i-1) 더보기 4번 - 개념 1) 이진 트리 (Binary Tree) : 자식 노드가 최대 두 개인 노드들로 구성된 트리 2) 이진 트리의 레벨에 따른 노드의 숫자 수 - 레벨 1 : 2^(1-1) - 레벨 2 : 2^(2-1) - 레벨 k : 2^(k-1) 62번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중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사용하는 요구사항 모델이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객체모델 2) 리스크 모델 3) 동적모델 4) 기능모델 더보기 2번 - 개념 1) 요구사항 분석의 기능 - 시스템 수준의 요구사항과 소프트웨어 설계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 소프트웨어 동작 특성 (기능, 자료,..

2017년 임베디드 플랫폼 필기 기출 오답 정리

44번 유닉스 표준 시그널 (POSIX 시그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복된 시그널은 큐에 저장된다. 2) 블록할 수 없는 시그널이 있다. 3) 특정 키 입력으로 발생될 수 있다. 4) 핸들러 설치가 불가능한 시그널이 있다. 더보기 1번 - 개념 1) Signal - 프로세스 사이의 통신을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 -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비동기적인 사건을 알리기 위해 전달되는 신호 - 프로세스에게 전달되는 소프트웨어 인터럽트이다. 2) Signal의 특징 - Signal은 생성되었으나 전달되지 않은 Signal을 Pending이라고 한다. - Process는 Signal Mask를 사용하여 특정 Signal을 Block 혹은 Unblock 시킨다 - 어떤 프로세스에 여러 개의 Signal..

2017년 임베디드 하드웨어 필기 기출 오답 정리

10번 캐시(Cache) 메모리에서 정보의 주소를 찾는 가장 빠른 매핑 방법은? 1) 연관 메모리 (Associative memory) 장치 방식 2) 직접 매핑 (Direct mapping) 3) 프로그램 매핑 (Program mapping) 4) 해시 매핑 (Hash mapping) 더보기 1번 - 개념 1) 캐시메모리 : 실제 메모리와 CPU 사이에서 빠르게 전달을 위해서 미리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메모리 2) 캐시메모리 매핑 방법 ① 직접 매핑 (Direct Mapping) - Main Memory를 여러 구역으로 분할하여 Cache 슬롯과 매핑 - 블록단위로 구분하여 동일한 순서로 매핑한다. ② 연관 매핑 (Associative Mapping) - 메모리 순서와 무관하게 캐시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

2016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필기 기출 오답 정리

69번 ISO 9126의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중 기능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상호운용성 2) 적합성 3) 보안성 4) 분석성 더보기 4번 - 개념 1) ISO 9126은 소프트웨어 품질특성에 대한 표준에서 주 특성으로 기능성, 사용성, 신뢰성, 이식성, 유지보수성, 효율성이 있으며, 주 특성 하위에 세부 특성을 포함 하고 있다. 2) 주 특성 하위 세부 특성 - 기능성 ㄴ 적합성, 정확성, 상호운영성, 보안성, 준수성 - 사용성 ㄴ 이해성, 학습성, 운용성, 준수성 - 신뢰성 ㄴ 성숙성, 결함 허용성, 복구성 - 이식성 ㄴ 적응성, 설치성, 공존성, 대체성, 준수성 - 유지보수성 ㄴ 분석성, 변경성, 안정성, 시험성, 준수성 - 효율성 ㄴ 시간반응성, 자원효율성, 준수성 73번 다음 중 자바에서 ..

2016년 임베디드 플랫폼 필기 기출 오답 정리

41번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수리하는 명령어인 fsck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A : /etc/mtab 파일에 표시된 모든 파일 시스템을 한 번씩 모두 점검한다. 2) -T : 시작할 때 제목을 보여주지 않는다 3) -s : fsck 동작을 시리얼화 한다. 4) -N : 실행하지는 말고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만 보여준다. 더보기 1번 - 개념 1) fsck : file system consistency check의 약어로 파일 시스템 지속성을 검사함 2) fsck 옵션 - s : fsck 동작을 시리얼화 함 - T : 검사할 때 제목을 보여주지 않는다. - N : 실제적으로 실행하지 않고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만 보여준다 - A : 일반적으로 /etc/fstab에 나와 ..

2021년 임베디드 플랫폼 필기 기출 오답 정리

1. 41번 poll과 epoll의 차이점에서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epoll은 커널에서 지원하는 기능이다. 2) 대용량 처리에서는 poll보다 epoll의 반응이 빠르다. 3) poll과 epoll은 POSIX 규약을 따르므로 서로 호환된다. 4) poll, epoll은 모두 시그널에 의해 인터럽트 될 수 있다. 더보기 3번 - 개념 1) poll ①에 선언되어 있다. - int poll(struct pollfd fds[], nfds_t nfds, int timeout); ㄴ 성공 시 이벤트가 발생한 fd 갯수를 리턴한다. 타임아웃시 0, 오류 시 -1을 리턴 ㄴ pollfd 의 구조체는 아래와 같다. revents에 event가 발생하면 채워주게 된다. typedef struct{ int ..

2021년 임베디드 펌웨어 필기 기출 오답 정리

1. 29번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DVCS: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으로 리눅스 소스의 다운로드 및 버전 관리에 사용되는 것은? 1) git 2) svn 3) cvs 4) subversion 더보기 1번 - 개념 1) 형상관리 툴 :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툴 2) 형상관리 툴의 종류 ① svn (subversion) - SVN 서버 Trunk에 소스를 올려놓고 필요할 때마다 소스를 다운받아 수정 및 추가 후 다시 업로드 한다. - commit 실패 시 롤백 가능 ② cvs (concurrent versions system) - 서버 Repository에 파일을 저장하고, 모든 사용자가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 - commit 실패 시 롤백이 불가능하다. -..